홈으로...

전기료 올린 발전소들,,초호화판 숙소 짓고'"성과급 잔치"

  • LV 3 별솔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2376
  • 2014.01.11 14:16

 

 

[중소기업시문=김두윤 기자] 공공기관들의 방만경영에 대한 정부차원의 고강도 개혁방안 마련이 한창인 가운데, 한전의 발전자회사들이 '억대 성과급' 문제로 다시 도마에 올랐다. 거대한 빚을 짊어지고 있는 이들 자회사들이 개혁기치를 높이 들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이처럼 전기료인상으로 매출이 올라가더니 성과급잔치늘 벌이는 것은 정부의 개혁의지가 멀지않아 흐지부지될 것이라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9일 감사원과 전기업계 등에 따르면, 이상호 남부발전 사장은 지난해 1억8000만여원의 성과급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남동‧동부‧서부‧중부발전 사장들 역시 비슷한 수준의 금액을 받았으며, 여기에 기본급까지 더해지면 이들이 지난해 가져가는 돈은 3억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정부의 경영평가에 따라 정당하게 결정된 성과급이고, 일부는 10%를 반납했다는 입장인데도 '잔치'로 매도당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아직 사용목적이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반납된 재원을 공익적 목적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에너지공기업들의 부채증가와 과도한 복지후생, 성과금 등 방만경영이 질타를 받자, 5대발전사들은 임금인상분과 성과급을 반납키로 했다.

 

이런 해명에도 이번 성과급을 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높은 부채문제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경영공시자료에 따르면, 남부발전은 2011년 2조6886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 3조5107억원으로 늘었다.

 

 같은기간 남동발전은 2011년 3조2708억원에서 4조5905억원대로, 남부발전은 2조6886억원에서 3조5107억원으로, 동서발전은 2조4664억원에서 3조3305억원으로 뛰었다.

 

특히, 비록 정부가 이를 승인했다고 하더라도 이번 성과급이 지난해 전기요금 인상으로 국민들의 요금부담이 커진 가운데 한전에 전기를 팔아 올린 이익이라는 점에서 '성과급 잔치'로 자신들을 챙길 것이 아니라 눈덩이가 된 빚을 갚거나 국민들의 부담을 줄일 전기요금을 낮추는데 사용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때문에 현재 공기업 방만경영에 과감한 메스를 들이대고 있는 정부의 방침에 에너지공기업들이 역주행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난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이중 그동안 갖은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왔던 남동발전은 눈에 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한국남동발전이 수천만원대 비용을 들여 고급 관용차를 이용해왔다는 사실이 드러나 눈총을 받았다. 또, 남동발전이 294억원을 들인 불가리아 태양광 사업도 부진한 실적으로 도마에 올랐다. 윤상직 산업통산부 장관은 남동발전 등 에너지공기업들의 해외투자가 너무 비효율적이라고 쓴소리를 낸 바 있다. 남동발전이 해외투자를 위해 세운 자회사는 25개에 이른다.

 

특히, '호화 숙소' 논란은 남동발전의 도덕성을 의심케하는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남동발전이 출자한 인천시 옹진군 영흥화력발전소 직원용 비상 숙소에는 건설비용이 무려 20억 가량이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으며, 여기에는 1000만원이 넘는 고급 스파 욕조와 수입산 목재로 만든 가구, 고가의 대리석 벽면, 방수 TV를 갖춘 화장실 등이 있어 초호화판이었다고 한다.

 

사실 이런 남동발전의 ‘좌충우돌’은 그리 새롭지 않다. 과거 남동발전은 화력발전부지에 골프장 건설을 추진하다 여론역풍을 맞아 취소하는 웃지못할 장면을 연출했으며, 그동안 투입됐던 2억원가량의 돈만 날리게되면서 따가운 비난을 받았다.

 

현재 방만경영으로 질타를 받아온 공공기관들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는 하늘을 찌르고 있으며 이를 개혁키 위한 정부의 의지는 날이갈수록 강도가 세지고 있다. 최근 윤상직 장관은 개선 의지가 보이지 않는 기관장을 조기 교체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한편, 윤 장관은 부채가 많은 에너지공기업들의 경영정상화 계획을 차례차례 점검하고 있으며, 10일에는 남동발전 등 5개 발전사의 경영정상화 계획을 살펴볼 것으로 전해졌다.

추천 1 비추천 0

트위터 페이스북 다음요즘 싸이공감 구글 북마크 네이버 북마크
LV 2 airwolf
그래서 공공부문의 부채가 늘어가는거죠~~~~~~~~~~~!! 에쿵 정답도 없다~~!!
LV 4 SpaceCarrot
방만경영하다 문제가 생기면 세금으로 해결하면 되는 일이니...........
LV 2 키르카제
결론 민영화해도 문제가 되고 그냥 이상태로 공기업으로 나둬도 문제가 됨;;
결론 국민들만 죽어나감...
민영화=가격인상
공기업=방만경영 국민세금 과다투입;;
이슈/토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19764 경찰 ,헌법에 보장된 시위,집회 규제 추진 (1) LV 3 별솔 01-10 2370
19763 혈세먹는 '광주 맥쿼리 도로' (제2순환로) 2년 다툼,,광주시 승소 (1) LV 3 별솔 01-10 2371
19762 민영화 논란의 '280억' 수서발KTX 신사옥 건립추진 (2) LV 3 별솔 01-10 2377
19761 가짜 서류 만들어 30억 전세 대출 사기 ..각지역에 사기단 기승 (1) LV 3 별솔 01-10 2369
19760 운전자 정전기 때문에…주유구 여는 순간 '펑' (2) LV 3 별솔 01-10 2379
19759 온몸 붓고 '후끈'…니코틴산이 허용치에 7배 섞인 가짜 산수유 (3) LV 3 별솔 01-10 2399
19758 북미대륙 추위 수준 (1) LV 3 하양바당 01-10 2387
19757 이 정도면 사실상 '의료민영화', 정부 왜 속이나 (2) LV 3 하양바당 01-10 2347
19756 같은 통신사, 기기만 바꾸는데 유심비를 왜 받나요 (1) LV 3 하양바당 01-10 2383
19755 스마트폰 누르면 알아서 차가 스스로 대리 주차 한다...` (2) LV 3 하양바당 01-10 2347
19754 '취지는 좋은데'···실속없는 노숙인 호텔리어 사업 (1) LV 3 하양바당 01-10 2346
19753 '압구정 길고양이' 쫓겠다고 연막 소독한다는데…주민들의 권리인가 학대인가 (1) LV 3 하양바당 01-10 2384
19752 식음료 ,전기·난방·가스·교통 등 각종 공공요금 인상 ..서민들은 죽어난다 (3) LV 3 하양바당 01-10 2346
19751 합숙소까지 차려놓고..4천억 대 인터넷 도박 (2) LV 3 하양바당 01-10 2393
19750 의료 선진국 프랑스에서 '대장 내시경'을 받으려면? (3) LV 3 하양바당 01-10 2348
19749 염지제 치킨 - 나트륨 범벅치킨 치킨의 배신 (5) LV 3 별솔 01-10 2347
19748 민생법안 놔두고 ..국회위원 제실속 채우기 "국회의원 연금법 통과" (3) LV 3 하양바당 01-10 2340
19747 현아·장현승 악성 루머, 유포자에 대한 처벌 정도는? (1) LV 2 제이앤정 01-11 2346
19746 美언론 "김연아 위협할 선수, 보이지 않는다" (1) LV 2 제이앤정 01-11 2377
19745 층간소음 말다툼에 무고한 20대 생명 앗아간 70대 노인 (1) LV 3 별솔 01-11 2369
19744 “수천억 챙겨간 맥쿼리, 세금은 0원” (5) LV 3 별솔 01-11 2373
19743 KTX 요금 경쟁 하자면서 400억 수서발 KTX 호화사옥부터 짓나 (2) LV 3 별솔 01-11 2370
19742 비트박스 하는 1살 아기 (2) LV 3 별솔 01-11 2347
19741 은퇴한 박지성 국가대표 복귀 만이 해답인가? (2) LV 3 별솔 01-11 2338
19740 박근혜 정부,메디텔(의료관광호텔업)설립 허용.."의료민영화"속전속결 (3) LV 3 별솔 01-11 2346
19739 전기료 올린 발전소들,,초호화판 숙소 짓고'"성과급 잔치" (3) LV 3 별솔 01-11 2377
19738 20cm 술병이 뱃속에 통째로…사진 논란 (2) LV 3 하양바당 01-11 2347
19737 카드사 고객 정보 도둑맞고… 정보 보호해 줄테니 돈 내라 (2) LV 3 하양바당 01-11 2340
19736 도박판 키워 놓은 정부, 중독자 치료 개인에게 떠넘겨 (1) LV 3 하양바당 01-11 2348
19735 농협 전산사태 때 상금 북한 해킹이 아니라 MB 상금세탁 의혹 (3) LV 3 하양바당 01-11 2347

조회 많은 글

댓글 많은 글

광고 · 제휴 문의는 이메일로 연락 바랍니다.  [email protected]   운영참여·제안 |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www.uuoobe.com All Rights Reserved.